금융용어 중에 디커플링이라는 말이 있다. 과연 디커플링이란 무엇일까? 세계경제 탈동조화 국가와 국가간 경제 관계라든지 아니면 한 국가가 세계경제에 이탈하는 현상을 이라고 한다. 다른 말로는 세계 탈동조화라고도 한다. 의 반대말로는 당연히 커플링이라고 한다. 이라는 것을 먼저 이해하려면 커플링 현상이 무엇인지를 알아야한다. 예를 들면 이런 것이다. 우리나라와 미국의 경제 관계는 밀접하게 연결되어있다. 미국의 경제가 성장하면 우리나라도 같이 성장을 하게된다. 그럴수밖에 없는 것이 우리나라는 수출 중심의 산업을 하는데 대부분 가장 경제대국인 미국한테 수출 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다보니 미국 경제가 호황이면 미국 국민들의 소비가 늘어나게 되고 그러다보니 우리나라의 수출품이 많이 판매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
과거에 가상화폐가 엄청난 인기몰이를 하다가 거품이 식어 버린 일이 있었다. 거품이 식은 것인지 향후 몇 년 후 정책이 어떤 식으로 만들어질지는 모르지만 가상화폐가 미래의 기축통화가 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럼 현실에서는 기축통화란 무엇일까?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대표 통화 기축통화는 국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대표 화폐이다. 현재 5대 화폐를 기축통화로 말하고 있다. 미국 달러, 유럽 유료화, 영국 파운드화, 일본 엔화, 중국 위엔화를 말한다. 우리나라의 원화의 경우 아직 국제적 경쟁력이 떨어지는 상황이다. 그래서 국제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위 5대 통화 중 하나를 결정해서 국제 간 거래를 진행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어느 정도 기축통화를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만약 기축통화 ..
2017년 11월 30일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0.25% 인상하였다. 그리고 2018년 1월 18일 기준금리를 동결하였다. 이렇듯 우리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발표에 항상 촉각을 세운다. 과연 기준금리는 무엇일까? 기준금리는 한 나라를 대표하는 금리이다 기준금리는 시장경제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경제 성장이 위축되게 되면 기준금리를 인하시키는 정책을 실행한다. 기준금리를 인하시키면 시장에 돈이 풀리게 된다. 낮은 금리가 있는 예•적금에 돈을 보관하지 않고 주식, 채권, 부동산 등에 자금이 들어간다. 그리고 또한 저렴한 대출금으로 투자를 하기도 한다. 그렇게 되면 기업이 성장하고 소비가 촉진되게 된다. 반면에 시장의 물가가 많이 상승하게 되면 기준금리를 인상시키는 정책을 실행 시킨다. 그렇게 되면 시중에 풀..
오늘은 경제학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 이다. 과연 은 무엇일까? 효용은 네이버 경제학 사전에 아래와 같이 기술 되어있다. 1. 보람 있게 쓰거나 쓰임. 또는 그런 보람이나 쓸모 2. 인간의 욕망을 만족 시킬 수 있는 재화의 효능 위의 단어의 뜻을 보았을 때 이란 내가 어떠한 선택을 하였을 때 그것이 가치가 "있냐?" "없냐?"를 나타내는 단어이다. 은 경제학, 다시 말해 자유시장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한 할머니가 일 평생 1억이라는 돈을 모으셨다. 그때 할머니는 1억이라는 돈으로 무엇을 할까 고민을 한다. 대학교에 기부를 할까? 아니면 평생 가지고 싶던 멋진 드림카를 구매하나 고민한다. 장학금으로 기부를 하면 1번과 같은 보람있게 쓴 것이고, 자동차 구매를 선택하면 2번과 ..
개인적 푸념을 하자면, 요즘 뉴스에서 계속 가상화폐 관련 소식만 나오다보니 마땅히 공부하고 작성 할만한 금융용어가 보이지 않는다. 여튼 푸념은 각설하고 그래도 한가지 단어를 선택해서 작성해 보겠다. 우리가 흔히 부동산 매매를 할 때 많이 보는 이라는 단어. 부동산에 대하여 막 거래하기 시작하는 젊은세대 사람이면 이라는 단어는 익은데 뜻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나도 처음 할 때 그랬으니깐... 내가 무식해서 그럴 수도 있고...) 과연 이란 무엇일까? 근저당은 담보대출이다 은 그냥 담보대출이다. 그런데 담보대출이 두가지로 나눠져 있다. 과 질권이다. 그럼 이 두가지는 무엇이 다른가? 실물에 대한 소유의 차이가 있다. 쉽게 시계를 예를 들어보겠다. 내가 돈이 필요해서 시계를 담보로 돈을 빌릴려고 한다. 이때..
작년에 "해외 비과세 펀드 막차에 올라타세요." 라는 뉴스를 봤을 것이다. 해외 비과세 펀드 중에 라는 것이 있다. 란 무엇인가? 란 투자금을 모아서 경제신흥국에 투자하는 펀드이다. 경제신흥국이라 하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등 개발도상국으로 올라오기 위하여 성장하고 있는 국가를 말한다. 신흥국은 우리나라의 70년대, 80년대와 같은 상황이다. 작년까지는 올랐다 내렸다를 반복하였다. 그러나 올해부터는 지속적으로 수익률이 좋게나오고 있다. 현재 신흥국들은 우리나라의 70년대, 80년대와 같이 경제 발전이 급속도록 올라가고 있다. 당연히 신흥국의 증권시장은 성장 할 수 밖에 없고 또한 펀드의 수익률도 좋아 질 수 밖에 없다. 그래서 이머징 펀드를 10년정도 장기투자를 하라고 추천 하는 편이다. 현..
요즘 코스닥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 정부 입장에서 열을 올리고 있다. 그런데 이번에 코스닥에서 변경되는 상장기준 중 "자본잠식 기업이라도 성장가치가 보이는 기업일 경우 상장을 승인 한다." 라는 부분이 있다. 개인투자자들은 "코스닥 시장을 도박판으로 만들 생각이네!!" 울부짖는다. 과연 이란 무엇이길래 이러는 것일까? 자기자본이 가라앉는다 우리가 흔히 잠식이라는 단어는 들어봤을 것이다. 쥐도새도 모르게 갯벌 같은 곳에 점점 가라앉게 되는 그런 상황에 사용한다. 또한 똑같다. 기업의 자기자본이 점점 가라앉는 것을 말한다. 그럼 왜 기업의 자기자본이 없어지는 것인가? 그것은 간단하다. 일단 신주발행을 하여서 유상증자(자본금 증가)를 못하는 기업이 있다고 하자. 기업을 성장 시킬려고 사업을 준비하는데 돈이 없는..
우리가 간혹 경제면 뉴스를 보다보면 볼 수 있는 과연 무엇일까? 실적 저조 = 주가 하락 어닝(earning)이란 실적을 뜻 한다. 기업별로 시장에서 예측하는 실적의 수치가 있다. 그러나 실적보고를 하는 기간에 나온 실적이 시장에서 예상했던 것 보다 못 미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그 충격이 주가의 하락으로 이어지게되면 주식시장에서는 라고 한다. 의 반대말로는 라고 한다. 이 경우는 시장에서 예상했던 실적보다 더 높게 실적 발표가 되고 주가의 상승까지 동반 되는 경우를 말한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java byte
- 경제용어
- byte 정수형
- 펀드
- Lambda
- 프로그램
- java double
- Polly
- 프로그래밍
- Crawling
- Java
- python format
- 주식
- AWS DynamoDB
- 경제
- Java 기초
- web
- Dynamodb
- 개발
- java long
- AWS Lambda
- string 매서드
- 경재
- string method
- AWS
- 크롤링
- Python
- java float
- python 문자열
- java 정수형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