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중 이라는 용어가 있다. 과연 어떤 의미를 가진 용어일까? 예상하지 못한 사건이 실제로 일어난 경우 예상하지 못한 사건이 발생하고 그 사건으로 인하여 큰 후폭풍이 오게 되는 것을 이라고 한다. 실제로 사람들은 검은 백조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지 못한다. 그러나 실제로 17세기 호주에서 검은 백조가 발견 되었을 때 사람들에게 큰 충격을 주게 되었다. 이처럼 불가능한 일이 실제로 일어나 세상에 주는 충격을 이라고 한다. 월가 전문가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가 검은 백조(The Black Swan)책에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예언하면서 두루 사용하게 되었다.
2018년 삼성전자 주식의 액면분할이 이슈였다. "황제주였던 삼성전자 주식이 이제 국민주가 되는 것이 아니냐?" 하는 말들도 있었다. 액면분할이란 무엇인가? 주식의 액면가를 나눈다. 주식의 액면가를 나누는 행위를 액면분할이라고 한다. 삼성전자 주가를 예를 들어서 설명을 해보자. 실제 액면분할이 되는 시점인 5월 중순 정도에는 종가가 어떻게 될지는 모르지만 지금 현재 2018년 2월 19일 기준 1주당 2,450,000원일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 삼성전자에서 공시한대로 1:50으로 액면분할을 할 경우 1주당 49,000원으로 변경 되는 것이다. 이처럼 액면분할의 개념은 상당히 쉽다. 액면분할은 주식거래가 원활하지 않을 경우 많이 이루워진다. 시세가 높게 책정되어 거래가 원활하지 않다든가. 아니면 신주발행의..
기업이 자본금을 증가 시키는 것을 유상증자라고 한다. 이와 반대로 감소 시키는 것을 라고 한다. 과연 란 무엇인가? 주식을 소각 한다. 유상감자는 주식의 발행 수를 감소 시키는 것을 말한다. 다른 말로는 주식을 소각한다고 한다. 를 하게 되면 자본금이 줄어 들게 된다. 그럼 기업입장에서도 좋지 않고 또한 주주들 입장에서는 본인들이 잘 가지고 있던 주식이 없어지므로 좋아할 일이 없다. 그런데 왜 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일까? 우선 상장폐지 기준의 한 부분을 알고 있어야한다. 관리종목 : 자본잠식 50%이상 일 경우 상장폐지 : 자본잠식 50%이상이 2년 연속일 경우. 예를 들어 자본금이 10억, 이익잉여금 20억, 자본잉여금 20억이 있는 회사가 있다. 또한 이 회사의 자산은 100억이고 부채는 50억 정도..
주식시장의 전자공시에 재무제표가 있다. 이 재무제표는 K-IFRS를 적용 받아서 작성이 된다고 한다. 그럼 K이는 KOREA 같은데 IFRS는 도대체 무엇일까? I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는 "I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의 약자이다. 우리나라 말로는 "국제회계기준"이라고 말한다. 그럼 라는 것이 왜 나오게 된 것인가? 가 나오기 이전에는 각 나라마다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방법이 달랐다. 그러다보니 우리나라 국내기업이 다른 외국에서 사업을 시작하게 되면 그 나라의 재무제표 작성방법을 배워야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었다. 그래서 모든 나라에서 똑같이 적용될 수 있는 회계표준을 만든 것이다. 근데 왜 우리나라는 IF..
요즘 너무 정신이 없다보니 오랜만에 글을 올리게 되었다. 주식투자를 위해 종목상세를 보면 볼 수 있는 이란 과연 무엇일까? 주가순자산비율 = 주당순자산 ÷ 주당가치 우리나라 말로는 주가순자산비율이라고 한다. 영어로 풀어서 쓰면 Price Book-value Ratio라고 한다. 은 기업이 가지고 있는 순자산을 주당으로 나눴을 때 값이랑 1주당 시세를 계산해서 배율로 보여주는 것이다. 예를 들면 순자산이 10억인 A회사가 있다. A 회사는 발행주식이 총 10만주이고 시가총액이 100억원이다. 이럴 때 을 구하려고 하면 어떻게 해야할까? 먼저 시가총액 ÷ 발행주식 수를 하면 1주당 가치가 나온다. 예시처럼 100억 ÷ 10만주를 하면 1주당 10만원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그 다음으로 순자산 ÷ 발행주식을 한..
2017년 11월 30일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0.25% 인상하였다. 그리고 2018년 1월 18일 기준금리를 동결하였다. 이렇듯 우리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발표에 항상 촉각을 세운다. 과연 기준금리는 무엇일까? 기준금리는 한 나라를 대표하는 금리이다 기준금리는 시장경제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경제 성장이 위축되게 되면 기준금리를 인하시키는 정책을 실행한다. 기준금리를 인하시키면 시장에 돈이 풀리게 된다. 낮은 금리가 있는 예•적금에 돈을 보관하지 않고 주식, 채권, 부동산 등에 자금이 들어간다. 그리고 또한 저렴한 대출금으로 투자를 하기도 한다. 그렇게 되면 기업이 성장하고 소비가 촉진되게 된다. 반면에 시장의 물가가 많이 상승하게 되면 기준금리를 인상시키는 정책을 실행 시킨다. 그렇게 되면 시중에 풀..
오늘은 경제학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 이다. 과연 은 무엇일까? 효용은 네이버 경제학 사전에 아래와 같이 기술 되어있다. 1. 보람 있게 쓰거나 쓰임. 또는 그런 보람이나 쓸모 2. 인간의 욕망을 만족 시킬 수 있는 재화의 효능 위의 단어의 뜻을 보았을 때 이란 내가 어떠한 선택을 하였을 때 그것이 가치가 "있냐?" "없냐?"를 나타내는 단어이다. 은 경제학, 다시 말해 자유시장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한 할머니가 일 평생 1억이라는 돈을 모으셨다. 그때 할머니는 1억이라는 돈으로 무엇을 할까 고민을 한다. 대학교에 기부를 할까? 아니면 평생 가지고 싶던 멋진 드림카를 구매하나 고민한다. 장학금으로 기부를 하면 1번과 같은 보람있게 쓴 것이고, 자동차 구매를 선택하면 2번과 ..
요즘 코스닥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 정부 입장에서 열을 올리고 있다. 그런데 이번에 코스닥에서 변경되는 상장기준 중 "자본잠식 기업이라도 성장가치가 보이는 기업일 경우 상장을 승인 한다." 라는 부분이 있다. 개인투자자들은 "코스닥 시장을 도박판으로 만들 생각이네!!" 울부짖는다. 과연 이란 무엇이길래 이러는 것일까? 자기자본이 가라앉는다 우리가 흔히 잠식이라는 단어는 들어봤을 것이다. 쥐도새도 모르게 갯벌 같은 곳에 점점 가라앉게 되는 그런 상황에 사용한다. 또한 똑같다. 기업의 자기자본이 점점 가라앉는 것을 말한다. 그럼 왜 기업의 자기자본이 없어지는 것인가? 그것은 간단하다. 일단 신주발행을 하여서 유상증자(자본금 증가)를 못하는 기업이 있다고 하자. 기업을 성장 시킬려고 사업을 준비하는데 돈이 없는..
- Total
- Today
- Yesterday
- byte 정수형
- java long
- 경재
- 크롤링
- web
- java 정수형
- 프로그래밍
- Dynamodb
- 주식
- java float
- AWS DynamoDB
- 경제용어
- AWS
- java byte
- AWS Lambda
- Lambda
- 개발
- Crawling
- java double
- python 문자열
- string 매서드
- Python
- 펀드
- python format
- 프로그램
- Polly
- Java
- 경제
- Java 기초
- string method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