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MF는 Money Market Fund의 약자로 하나의 펀드 상품이다. 주식형 펀드, 채권형 펀드, 혼합형 펀드와 같이 하나의 펀드 상품이라는 말이다. 그럼 MMF는 무엇일까? 실적배당형 초단기 금융 상품이다. MMF의 경우 초단기 금융 상품이다. 보통 우리가 투자하는 일반적인 펀드(사실 펀드의 종류가 많기 때문에 일반적이다. 라는 표현을 쓰기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에서는 펀드를 투자가 하고 환매(다시 투자금액을 가져오는 것)할 때 환매 수수료가 발생한다. 어떤 펀드는 1년후, 2년후 등 조건이 붙게 되는 것이다. 물론 투자자 입장에서는 당장에 현금이 필요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환매수수료를 지불하고 해당 펀드를 환매 하는 상황이 될 것이다. 이런 부분을 보완하는 것이 MMF라고 생각을 하면 된다...
요즘 비트코인으로 인하여 떠들석하다. 그러나 비트코인이 들썩이기 불과 1달전만해도 우리는 미 금리의 상승에 많은 주목을 하였다. 결국 미 금리가 오르고 한국은행에서는 우리나라 기준금리를 0.25% 올리기로 11월말 결정을 하였다. (그런데 은행의 금리가 오르지 않고 오히려 떨어졌다는데, 은행에서 기존에 금리가 오를 것을 생각하고 선 반영을 했다고 한다.) 그리고 내년에 미 금리가 3번정도 올릴 예정이라고 발표되었다. 이럴 경우 [캐리트레이드]가 발생 할 수 있다. [캐리트레이드]는 무엇인가?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금리가 1%이고 미 금리가 2%일 경우 우리나라에서는 대출을 하는게 유리 할 것이고, 미국에는 예적금을 하는 것이 유리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에서 대출을 받아 미국연방은행에 예적금을 함..
재태크를 하려고 하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펀드라는 단어를 들어 보았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 같은 일반인들에게는 어렵게만 느껴지는 단어이다. 그럼 펀드란 무엇일까? 펀드는 갯돈이다. 펀드는 과거에 우리 어머니들이 하시던 갯돈이라고 생각하면 쉽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돈을 한 곳에 모아두고 그 투자금에서 나온 이익금을 나눠서 갖는 것이다. 펀드를 간접자본이라고 말한다. 다시 말해 투자자가 직접 투자를 하는 것이 아니다. 펀드는 우리의 돈을 대신 투자자산에 투자해 주는 것이다 주식, 채권 같은 경우 우리 같은 일반인들이 직접하기에는 위험부담이 크다. 또한 위험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따로 시간을 드려서 공부를 하자니 생업에 방해가 발생 할 수가 있다. 이렇기 때문에 각 운용사에서는 펀드상품을 만..
드디어 AWS Polly를 활용한 TTS 관련 내용도 마지막이 되었다. 이번에는 DynamoDB에 저장된 TTS 관련 정보 조회와 S3에 저장된 MP3를 다운로드를 하도록 하겠다. 이전 장에서 살펴봤던 DynamoDB 조회 함수 중에서 scan함수를 활용하여 DynamoDB를 조회하도록 하겠다. getNewInfo 함수는 아래와 같이 작성을 한다. import json import os import boto3 from boto3.dynamodb.conditions import Key, Attr def lambda_handler(event, context): # TODO implement client = boto3.client('dynamodb') # Table에 있는 전체 내역을 조회할 수 있음. res..
1편부터 8편까지 해서 TTS변환 mp3를 S3에 저장을 하였다. 또한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와 Lambda사이에 Cognito을 활용하여 연결하였다. 이제는 DynamoDB에 있는 TTS 정보를 조회하고 mp3 다운로드, 실시간 스트리밍을 지원하면 이번 프로젝트는 종료가 된다. Lambda를 통한 DynamoDB 조회를 진행하기 전에 번외 편으로 DynamoDB의 조회 함수를 정리할 필요성을 느꼈다. 따라서 이번에는 DynamoDB 조회 함수에 대해서 정리하겠다. DynamoDB에서 테이블의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는 방법은 대표적으로 4가지가 존재한다. get_item batch_get_item query scan 대표적인 4개의 조회 함수를 사용하기 전에 한가지 전제조건을 확인하자. REG_DT :..
지난번까지 해서 DynamoDB로 들어오는 데이터를 Lambda Trigger로 수신받은 후 Polly로 mp3 변환을 하고 S3에는 mp3를 보관하였다. 그리고 DynamoDB에는 mp3가 보관된 경로를 저장하도록 하였다. 이번에는 사용자가 웹페이지를 통해서 mp3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mp3 내용을 실시간으로 들을 수 있도록 만들 예정이다. 이전과 다르게 아키텍처 구조를 변경하였다. 기존에는 S3와 Lambda사이에 API Gateway를 두고 사용을 하였다. 그러나 굳이 API Gateway가 필요 없어서 제거를 하였다. 그리고 Cognito를 넣었다. 위 아키텍처의 흐름은 다음과 같이 진행 한다. S3에는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웹페이지를 업로드시킨다. Lambda에서는 DynamoDB에 접속하여 ..
이제부터 이 프로젝트의 최종 목표인 Polly Service를 호출해서 TTS 변환을 하고 mp3파일을 S3에 적재하는 진행 하려고 한다. 빨간 네모칸 중 Lambda에서 Polly로 넘어가고 다시 Polly에서 Lambda로 돌아오는 구간을 진행하려고 한다. 먼저 Polly를 호출하기 전에 Lambda에 S3 접근 권한이 존재해야 한다. 우선 서비스 검색에서 S3라고 검색을 한다. 그리고는 아래의 화면이 나타나게 된다. 좌측 상단의 [버킷 만들기] 버튼을 클릭해서 Bucket를 새로 만든다. S3는 Simple Storage Service의 약자로서 Web Storage이다. S3에 파일을 업로드하면은 해당 파일에 접근할 수 있는 URL을 제공하게 된다. Public권한으로 Object가 S3에 업로드..
이제까지 DynamoDB와 Lambda를 Trigger 연결하였다. 이제 Trigger 연결된 Lambda에 DyanamoDB Insert 데이터가 잘 들어오는지 확인을 하고 Polly로 원하는 데이터를 보낼 수 있도록 데이터 정제 작업을 진행하도록 하겠다. 빨간색 네모칸 영역 중 Lambda 영역이다. 처음에 Lambda를 생성해 보면 아래와 같이 기본적으로 함수가 생성된다. Lambda 소스 작성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로컬에서 작성 후 .zip파일로 올릴 수도 있고 S3에 적재해서 Trigger로 가지고 와도 된다. 나 같은 경우는 그냥 Web화면에서 바로 작업을 하였다. 참고로 Lambda도 로컬에 환경을 만들 수 있다고 한다. 나도 아직 해보지는 않다. import json def lambda..
- Total
- Today
- Yesterday
- java 정수형
- 경재
- Python
- Dynamodb
- python format
- 크롤링
- Crawling
- java long
- AWS Lambda
- AWS DynamoDB
- Lambda
- 주식
- 경제
- byte 정수형
- java float
- string 매서드
- Polly
- AWS
- python 문자열
- 프로그래밍
- string method
- java byte
- Java 기초
- 개발
- 프로그램
- 펀드
- web
- 경제용어
- java double
- Java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