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모든 프로젝트는 유니크하다. 왜냐면 프토젝트에 투입되는 사람은 달라지기 때문이다.
우리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오로지 개발만 잘하면 프로젝트는 잘 끝날 것으로 생각한다. 물론 맞다. 프로젝트에서 개발은 꽃이다. 그러나, 프로젝트에서는 개발뿐만 아니라 개발을 하기 위한 선후 단계가 있다. 그것을 프로세스와 방법론 이라 한다.
개발자들의 경우 개발 방법론이 왜 필요한지 궁금할 것이다. 나 또한 개발자 일 때 필요하지 않았다. 공식적인 가이드라인이나 프로세스가 없이 개발하는 형태를 코딩과 수정(code-and-fix)라고 한다. 이런 경우 즉흥적인 개발이 이루지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높은 수준을 원할 경우 계속 고치게 되는 상황이 발생된다. 또한 계획에 대한 목표가 없기 때문에 제대로 된 개발이 이루어졌는지 알 수가 없다. 결국엔 다시 시스템을 만들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런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프로세스와 방법론이 있다.
|
프로세스 |
방법론 |
특징 |
- 단계적인 작업의 틀을 정의한 것 - 무엇을 하는가에 중점 - 결과물이 표현에 대하여 언급 없음 - 패러다임에 독립적 - 각 단계가 다른 방법론으로도 실현 가능 |
- 프로세스의 구체적인 구현에 이름 - 어떻게 하는가에 중점 - 결과물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표시 - 패러다임에 종속적 - 각 단계의 절차, 기술, 가이드라인을 제시 |
사례 |
- 폭포수 프로세스 - 나선형 프로세스 - 프로토타이핑 프로세스 - Unified 프로세스 - 애자일 프로세스 |
- 구조적 분석, 설계방법론 - 객체지향 방법론 - 컴포넌트 - 애자일 방법론 |
앞으로 프로세스와 방법론에 대하여 차근차근 포스팅을 할 예정이다. 나 또한 이 부분에 많은 공부가 필요하다. 오랜 시간이 걸리겠지만 가능한 자세히 포스팅을 해보겠다.
※ 저자 최은만 선생님의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요약 및 발췌하였습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java long
- java byte
- java double
- python 문자열
- 프로그램
- web
- Lambda
- java float
- 개발
- 주식
- AWS DynamoDB
- 경제
- Python
- AWS
- 프로그래밍
- Java 기초
- Dynamodb
- byte 정수형
- java 정수형
- AWS Lambda
- Polly
- 경제용어
- Java
- string method
- 경재
- string 매서드
- 펀드
- Crawling
- 크롤링
- python forma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