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BUQt9/btqyTl5YuuX/RVA3fPGt3avQQFuaYHDJq0/img.png)
앞에서 이야기한 거와 같이 python으로 crawling을 하여서 DynamoDB에 적재를 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먼저 DynamoDB에 접근을 하기 위해서는 IAM 설정이 필요하였다. IAM이란 무엇인가? IAM이란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의 약자이다. AWS에서 IAM에 관하여 설명하는 부분을 발췌해보면 AWS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IAM)를 사용하면 AWS 서비스와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AWS 사용자 및 그룹을 만들고 관리하며 AWS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 및 거부할 수 있습니다. 라고 설명하고 있다. 쉽게 이야기해서 특정 사용자가 AWS의 서비스를 접근할 때 사용해야 하는 접근통제 시스템..
IT기술, 프로그래밍/AWS
2019. 10. 9. 17:03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java byte
- AWS
- 프로그래밍
- string 매서드
- java double
- java long
- 프로그램
- python format
- Crawling
- Java 기초
- Polly
- java 정수형
- AWS Lambda
- Java
- java float
- byte 정수형
- python 문자열
- AWS DynamoDB
- 경제용어
- Python
- string method
- 크롤링
- 주식
- 개발
- 경제
- 경재
- web
- Lambda
- Dynamodb
- 펀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